728x90
반응형

@ 함평 이씨(咸平 李氏) 대동(大同) 항렬표(行列表)

세(世)

23

24

25

26

27

항렬자(行列字)

유(儒)○

○서(緖)

민(敏)○

○헌(憲)

계(啓)○

세(世)

28

29

30

31

32

항렬자(行列字)

○범(範)

재(載)○

○행(行)

건(建)○

○성(聖)○현(賢)

세(世)

33

34

35

36

37

항렬자(行列字)

규(奎)○

○선(善)

원(源)○

○식(植)

희(熙)○

세(世)

38

39

40

41

42

항렬자(行列字)

○기(基)

진(鎭)○호(鎬)○

○수(洙)

병(秉)○

○열(烈)○유(裕)

@ 함평 이씨(咸平 李氏) 유래 등

 

1. 함평 이씨(咸平 李氏) 시조(始祖) : 이언(李彦)

2. 함평 이씨(咸平 李氏) 유래(由來) :

 

함평 이씨(咸平 李氏)의 시조(始祖) 이언(李彦)은 고려(高麗) 태조(太祖) 때 신무위대장군(神武衛大將軍)을 지냈고 후(後)에 함풍군(咸豊君)에 봉(封)해졌다.《정묘보(丁卯譜)》 세록(世錄)편에 의하면 시조공(始祖公) 이언(李彦)이 함풍군(咸豊君)에 봉(封)해져 자손(子孫)들이 크게 번성(繁盛)하여 성향(姓鄕)이 되었다고 하였다. 그 후(後) 4세손(世孫) 이순지(李順之)는 고려조(高麗朝)에서 검교(檢校) 흥위위대장군(興威衛大將軍)을 지냈고, 이어 그의 큰 아들 이림(李琳)은 문과(文科)에 급제(及第)하여 상의원직장동정(尙衣院直長同正)을 지냈다. 그 후(後) 후손(後孫)들이 크게 번성(繁盛)하여 함평 이씨(咸平 李氏)의 대종(大宗)을 형성(形成)하였다. 이순지(李順之)의 둘째 아들 이광봉(李光逢)은 충숙왕(忠肅王) 때 삼한벽상(三韓壁上) 삼중대광(三重大匡) 보국숭록대부(輔國崇祿大夫) 좌명공신(佐命功臣)에 녹훈(錄勳)되고 함풍부원군(咸豊府院君)에 봉(封)해졌다. 이후(以後) 조선시대(朝鮮時代)에 함풍(咸豊)과 모평(牟平) 두 현(縣)을 합(合)하여 함평(咸平)으로 고쳤는데, 그 후손(後孫)들이 함평(咸平)을 관향(貫鄕)으로 삼아 일파를 이루고 있다.

 

 

3. 함평 이씨(咸平 李氏) 본관(本貫) 연혁(沿革)

 

함평(咸平)은 전라남도(全羅南道) 서부(西部)에 위치(位置)한 지명(地名)으로 함풍(咸豊)과 모평(牟平) 두개 현(縣)이 합(合)쳐진 지명(地名)이다. 선사시대(先史時代)에는 진국, 삼한시대(三韓時代)에는 마한에 속(屬)하였다. 백제(百濟) 때 굴내현(屈乃縣: 또는 屈奈縣)·다지현(多只縣)에 속하였다. 757년(신라 경덕왕 16) 굴내현은 함풍현(咸豊縣)으로, 다지현(多只縣)은 다기현으로 개칭(改稱)되어 무안군에 이속(移屬)되었다. 고려(高麗) 태조(太祖) 때 다기현(多岐縣)을 모평현(牟平縣)으로 바꾸었고, 1018년(현종 9) 영광군의 속현(屬縣)이 되었다가 1172년(명종 2) 감무(監務)가 파견(派遣)되었다. 1409년(태종 9) 모평현(牟平縣)과 합(合)하여 함평현(咸平縣)으로 개편(改編)하였다. 기성(箕城)이라는 별호(別號)가 있었다. 1895년(고종 32) 지방제도(地方制度) 개정(改定)으로 나주부 함평군(咸平郡)이 되었다가, 1896년 전라남도(全羅南道) 함평군(咸平郡)이 되었다. 1914년 군면(郡面) 폐합(廢合)으로 10개 면(面)으로 줄었으며, 1932년 식지면과 평릉면을 합병(合倂)하여 나산면으로 신설(新設), 9개 면(面)이 되었다. 1963년 함평면(咸平面)이 읍(邑)으로 승격(昇格)하였다.

 

 

 

4. 함평 이씨(咸平 李氏) 계파(系派) 및 분파(分派)

 

감정공파(監正公派)

교수공파(敎授公派)

기성군파(箕城君派)

기와공파(箕窩公派)

대교공파(待敎公派)

목사공파(牧使公派)

부사공파(府使公派)

사직공파(司直公派)

운봉공파(雲峰公派)

지평공파(持平公派)

진사공파(進士公派)

참판공파(參判公派)

철성군파(鐵城君派)

판관공파(判官公派)

함성군파(咸城君派)

현감공파(縣監公派)

현령공파(縣令公派)

효우공파(孝友公派)

 

 

5. 함평 이씨(咸平 李氏) 가문(家門)의 번영(繁榮)

 

조선초기(朝鮮初期)에 무(武)로써 가문(家門)을 일으켜 조선시대(朝鮮時代)에만 70여명의 문신(文臣), 무신(武臣)을 배출(輩出)하였다. 중시조(中始祖)는 시조(始祖)의 10대손(代孫)인 이종생(李從生), 그는 세조(世祖)때의 무장(武將)으로 이시애(李施愛)의 난(亂)을 평정(評定)하고 야인 정벌 등에 용맹(勇猛)을 떨치고 각도(各道)의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를 두루 역임(歷任)했는데 함평 이씨(咸平 李氏)의 뛰어난 인물(人物)은 거의가 그의 후손(後孫)이다. 그의 아들 이양(李良)장군 또한 연산군~중종 때에 전라(全羅), 충청 수군절도사, 함경도(咸鏡道) 병마절도사(兵馬節度使) 등(等)을 지냈던 인물(人物)이다.

 

이대원(李大源)은 선조16년에 무과(武科)에 급제(及第)하고 남해안에 출몰(出沒)한 왜적(倭敵)을 추격하여 적장을 사로잡는 전과를 올렸다. 이어 흥양지방에 왜구가 쳐들어오자 백여명의 병력을 이끌고 3일간의 혈전(血戰)을 벌였으나 중과부적으로 패해 포로가 됐으나 항복을 거부하고 순국했다. 그의 충정을 기리는 뜻에서 쌍충사(雙忠祠)가 건립되었다. 선조때 이덕일(李德一) 장군은 임진왜란이 일어나자 의병장(義兵將)이 되어 왜적(倭敵)과 싸웠다. 그는 화살하나로 두명의 적을 쓰러뜨릴 만큼 활솜씨가 뛰어나 이 같은 용맹(勇猛)이 알려져 이순신(李舜臣)장군(將軍)의 참모(參謀)로 기용되어 임진왜란(壬辰倭亂)을 종결시키는데 크게 공(功)을 세워 절충(折衝)장군(정3품)에 올랐다.

 

 

6. 함평 이씨(咸平 李氏) 역대(歷代) 중요(重要) 인물(人物)

 

이춘수 : 좌수사.

이종생 : 조선, 시호 장양, 충청도 병마절도사.

이운로 : 조선, 시호 장경, 도총관.

이여감 : 조선, 병마절도사.

이계윤 : 조선, 병마절도사.

이대원 : 조선, 수군절도사.

이춘원 : 조선, 충청도 관찰사.

이배원 : 조선, 황해도 관찰사.

이덕일 : 조선, 절충장군.

이 해 : 조선, 시호 충민, 공조판서.

이 원 : 조선, 시호 경무, 통제사.

이지익 : 조선, 공조판서.

이 삼 : 조선, 병조판서. 함은군.

이경화 : 조선, 병마절도사.

이유신 : 조선, 대사간.

이창운 : 조선, 도총관.

이홍직 : 조선, 지중추부사.

 

 

7. 함평 이씨(咸平 李氏) 주요(主要)세거지(世居地)

 

- 경기도 화성군 양감면 대양리

- 경기도 평택군 현덕면 운정리

- 충청남도 예산군 고덕면 몽곡리

- 전라북도 정읍군 내장면 송산리

- 전라북도 고창군 해리면 왕촌리

- 전라남도 영암군 군서면 송평리

- 전라남도 함평군 함평면 함평리

- 광주광역시 광산구 서방면 오치리

- 전라남도 무안군 해제면 덕산리

 

 

8. 함평 이씨(咸平 李氏) 인구수(人口數)

 

2000년 통계청이 발표한 결과에 의하면 함평 이씨는 38,852가구 총 125,419명이 있는 것으로 되어 있다.

728x90
반응형
LIST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