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 기업 개요

**아마존(Amazon, NASDAQ: AMZN)**은 세계 최대 전자상거래 기업이자,
**클라우드 컴퓨팅(AWS)**과 AI 기반 솔루션을 결합해
AI 산업의 중심 기업으로 부상 중입니다.
특히 AWS를 통해 생성형 AI 인프라·API·칩셋
B2B AI 시장에서 강력한 입지를 확대하고 있습니다.


📊 최근 실적 및 AI 투자 현황 (2024 기준)

항목                                                    수치 또는 내용

 

총매출 약 $590B (전년 대비 +11%)
AWS 매출 약 $108B (전년 대비 +13%)
AI 인프라 투자계획 $100B (2025년까지)
AI 투자 파트너십 Anthropic(40억 달러), Hugging Face 등
생성형 AI 서비스 Bedrock, Amazon Q, Titan, Trainium, Inferentia

📌 AWS AI 부문의 고성장이 전체 기업가치에 큰 비중 차지


🔧 주요 AI 전략 분석

✅ 1. 클라우드 중심 AI 인프라 제공

  • Amazon Bedrock: 생성 AI API 플랫폼 (Claude, Titan, Mistral 모델 연동)
  • Trainium & Inferentia: 자체 개발 AI칩으로 GPU 비용 절감
  • Project Greenland: GPU 우선 순위 관리 및 자원 최적화

✅ 2. 기업용 생성 AI 확장

  • Amazon Q: 업무 특화 AI 챗봇 – Slack, Office365 연동
  • Nova AI: 이미지·비디오·텍스트 멀티모달 AI 모델
  • Alexa AI 강화: 음성 기반 사용자 경험 고도화 추진

✅ 3. AI 파트너십 전략

  • Anthropic과 전략적 제휴: Claude 모델의 AWS 독점 호스팅
  • Hugging Face·Stability AI 협업: 오픈 소스 AI 생태계 강화
  • NVIDIA·AMD 협업 병행: GPU 공급망 안정화 대응

📈 산업 내 입지와 경쟁력

비교 항목                      아마존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AI 인프라 AWS (1위) Azure (2위) GCP (3위)
AI 모델 전략 파트너 모델 중심 (Claude 등) OpenAI 독점 자체 Gemini 개발
하드웨어 칩 Trainium, Inferentia Azure AI Chip TPU
API/서비스 Bedrock, Q Copilot Gemini API

📌 B2B 생성 AI API 생태계 → 아마존이 “오픈 + 확장성” 전략으로 강점


✅ 투자 포인트

포인트                                                                                 설명

 

AI 기반 SaaS 수익 모델 구축 중 Amazon Q 등 구독형 AI 서비스 확대
AI 칩 내재화 → 원가 절감 효과 GPU 의존도↓ + AWS 매출 마진↑
전방위 클라우드 통합 전략 고객 데이터 → AI 분석 → 재투자 구조
기술/파트너 생태계 유연성 Anthropic, Stability, NVIDIA 등 다변화

⚠️ 리스크 요인

리스크                                                               상세 내용

  

GPU 수급 경쟁 NVIDIA, AMD에 대한 의존 지속 중
경쟁사 추격 MS(OpenAI), Google(Gemini)의 AI 기술력
에너지·데이터 센터 비용 생성 AI 확대 → 전력·자본 집약도 상승
규제 리스크 EU·미국 AI 윤리·데이터 프라이버시 규제 확대

🧭 투자자별 분석 적합도

투자자 유형                                   적합도                           이유

 

장기 성장형 투자자 ✅ 매우 적합 AI + 클라우드 성장성 확실
AI 테마 ETF 투자자 AMZN은 ROBO, BOTZ 등 AI ETF의 핵심 종목
단기 트레이더 ⚠️ 실적 변동성은 낮으나 단기 테마성은 적음
배당 투자자 무배당, 주가 상승형 기업

❓ Q&A

Q1. 아마존이 AI 업계에서 갖는 차별점은?

➡️ “플랫폼 공급자 + 파트너 생태계 중심 전략”으로 기업들의 AI 도입을 돕고 있음

Q2. OpenAI와 직접 경쟁하나요?

➡️ 아니요. Anthropic(Claude 모델)을 중심으로 B2B API 플랫폼을 확장하고 있으며 OpenAI는 MS 독점 파트너입니다.

Q3. AI가 아마존 주가에 얼마나 기여하나요?

➡️ 2024년 주가 상승률 +45.6% 중 절반 이상은 AWS AI 기대감 반영이라는 분석


🔗 관련 태그

#Amazon #AWS #AI산업 #생성AI #Bedrock #Anthropic #Trainium #클라우드AI #AI투자전략 #Tech주분석


💡 더 많은 AI & 클라우드 주도주 분석이 필요하다면?
👉 Find2Everything, 정보의 모든 것에서 더 많은 인사이트를 받아보세요! ☁️🤖📈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퍼블릭 클라우드의 전용선 서비스는 고객의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을 퍼블릭 클라우드와 고객 자신의 데이터 센터 또는 기업 네트워크 사이에 안전하게 연결하는 서비스입니다. 내부시스템과 연동을 위해서는 이러한 전용선 서비스를 사용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가 있습니다.

첫째, 보안성이 높습니다. 전용선으로 연결된 네트워크는 일반적으로 인터넷과는 완전히 분리되어 있으며, 고객의 데이터가 전용적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외부에서의 침입 및 데이터 유출 위험이 줄어듭니다.

둘째, 성능이 우수합니다. 전용선은 일반적으로 높은 대역폭을 제공하기 때문에 대용량 데이터 전송 및 빠른 응답속도를 보장합니다. 또한, 비공개 전용선을 이용하면 인터넷 경로를 통해 데이터가 전송되어 지연시간이 걸리지 않아 더욱 빠른 응답이 가능합니다.

셋째, 안정성이 높습니다. 전용선 서비스를 이용하면 외부 인터넷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으므로 안정적인 서비스를 보장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퍼블릭 클라우드와 내부시스템 사이에서 데이터 및 업무를 안전하고 빠르게 이동하기 위해서는 전용선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AWS Security Guide 

 

 

AWS의 Security ? 보안이란 ?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를 많이 사용 하게 되면서 많이들 혼동을 한다.

보안은 AWS가 다 해주는거 아니야 ?? 사실 그렇지 않다. 

 

보안의 범위를 제대로 알아야 한다. 

 

보안을 오래 하지는 않았지만, 컨설팅이라는 것을 좀 해봤기 때문에 

범위를 조금 정의 해보자면 

 

  1. 물리 보안
  2. 데이터 보안
  3. 시스템 보안
  4. 네트워크 보안 
  5. 어플리케이션 보안

 

이 것들 중에서 AWS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를 사용하기 때문에 물리보안은 신경 쓸 필요가 없다. 

나머지 영역에 대해서는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를 통해서 서비스를 구성 하는 사용자가 직접 챙겨야 한다.

 

물리 보안, 

물리 보안은 사용자 입장에서는 신경 쓰지 않아도 된다.

AWS에서 책임져야 하는 부분이다. 전산센터(IDC)를 운영하거나 별도의 전산센터(IDC)에 물리 서버를 운영하고 있다면 챙겨야할 ISO27001, ISMS-P, PCI-DSS 등을 포함한 사항을 AWS에서 관리 하고 있다.

 

데이터 보안,

데이터 보안은 사용자가 직접 관리 하는 부분이고, 기본적으로 기업에서는 DB접근제어 솔루션과 암복호화 솔루션을 3rd Party 솔루션을 구매 해서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것을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에 연속 해서 사용 하는 것이 제일 좋은 방법 이다.

 

앞서 물리 보안에서 언급 하였던, 각종 인증 심사 들의 물리 보안 영역을 제외 한 나머지 영역 과 개인정보 보호법이라고 하는 보호 대상에서는 솔루션을 사용 해야 하는 부분이 있기 때문에 쓰는 것이 좋은 방법 입니다.

 

이런 것들이 없다면 AWS에서 제공 해주는 데이터 관리 서비스는 가장 대표적으로는 CloudTrail과 KMS, Cloud HSM이 있습니다. 

 

CloudTrail 서비스는 알면 알수록 잘 쓰면 잘 쓸수록 정말 좋은 기능이다. AWS Console 및 구성 하는 API 에서 제공 하는 Log를 포맷에 맞춰서 저장 해주는 서비스로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서비스인 AWS, GCP 등에서 제공을 해주는 가장 좋은 기능이고 필수적으로 써야 하는 기능이다. 그리고 KMS는 암호키를 생성 관리 하는 서비스 마지막으로 Cloud HSM, 자체 암호화 키를 손쉽게 생성 및 사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클라우드 기반 하드웨어 보안 모듈(HSM)로 강력한 보안 안정성을 제공 해주는 서비스 라고 합니다.

 

시스템 보안,

이것도 역시 데이터 보안과 마찬가지로 기업에서는 꼭 필수적으로 관리 해야 하는 부분이고 3rd Party 솔루션을 통해서 많이 사용 한다. 그리고 이것도 역시 인증 심사에 필수적인 항목이다.

AWS에서 제공 하는 기능으로는 IAM, CloudWatch, Trusted Advisor, AWS Config 가 있다. 가장 기본적인 관한 관리와 리소스 모니터링을 해주는 기능 들인데 구성을 하기 위해서 내부 조직들 간에 협의가 많이 필요하다.

먼저 IAM은 AWS 계정의 접근제어와 권한 관리를 해주는 기능으로 AWS를 쓰기위한 웹콘솔 등을 접속 하기 위한 User 권한 등을 Key 관리를 하는 서비스이다.

AWS CloudWatch 는 리소스와 어플리케이션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서비스로 기본적으로 제공 하는 것 외에 필요한 Log 들도 커스터마이징 해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며, 기본 5분은 무료로 데이터를 받을 수 있으며 5분 이하로 데이터를 받으려면 별도의 비용이 발생 하고 데이터를 저장 할 수 있는 저장소를 마련 해야 한다. 일부 상세한 모니터링 기능은 별도의 솔루션을 사용 해야 한다.(기존 Legacy 영역에서 필수로 지정 되어 있는 부분이 되지 않을 수도 있고 이것에 따라서 많은 협의가 필요 할수 있다.)

AWS Trusted Advisor는 AWS에서 권장 하는 모범? 사례에 대해서 점검 및 제안을 해주는 서비스로 비용, 보안, 효율성, 안정성 측면에서 체크를 해주는 서비스로 가장 기본적으로 확인하고 적용 하면 좋은 서비스이다. 하지만 여기서 나오는 사항을 전부 지킬 필요는 없으며 별도의 Process 또는 내부 절차를 통해서 관리가 된다면 별도 관리 해도 된다.

AWS config는 AWS 리소스 구성을 측정, 감사 및 평가할 수 있는 서비스로 리소스의 구성 내역 이력 관리 서비스 라고 쉽게 이해 하면 된다.

 

네트워크 보안,

기존 Legacy 영역과 가장 많이 차이가 나는 부분이고 많이 알아야 제대로 알아서 하는 부분이라고 생각 한다. AWS를 통해서 보안을 구성 하는 방법은 Security group, VPC NACL, VPC Flow logs, NAT gateway, AWS Certificate Manager 로 방화벽 기능이라고 보면 되고, 기존 Legacy의 네트워크 보안 영역의 IDS, IPS 부분은 GuardDuty와 연결 되지만 네트워크만 국한 되는 영역이 아니다. 

Security group은 L4 방화벽 이라고 이해 하면 되고 EC2, RDS, ELB 영역에서 in/out bound port와 source를 제한 / 허용 하는 정책을 만들면 되지만 out bound는 Statefull 방식이기 때문에 기본 All allow 정책이다. 

VPC NACL은 Subnet에 부여하는 방화벽으로 Security Group 앞단에 있는 방화벽이라고 보면 되고 Stateless 로 inbound / outbound 모두 설정 해야 한다.

VPC Flow Log는 네트워크 보안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사항으로 관제 영역에서 필수로 봐야 하는 사항이고, VPC대역에서 발생하는 모든 접근 로그를 확인 할 수 있다. 운영 시 보안관제 시 필수적인 로그이며, 통신상 문제는 이 로그로 파악, 관리 하면 된다. 

NAT Gateway는 외부에서 직접 접근 할 수 없는 Private Subnet 대역에 있는 대상들이 외부 인터넷으로 통신 하기 위해서 사용 하는 서비스로 일반적으로 필수 구성 되는 사항이다.

AWS Certificate Manager 는 인증서 서비스, SSL/TLS 통신을 하기 위한 인증서로 무료 제공으로 ELB와 Cloud Front에 설정 하는 인증서 서비스으로 보통 기업에서는 특정 공인 인증기관 서비스를 사용 해야 하는 경우가 있으니 내부 규정에 따라야 한다. 

앞서 말했던 AWS GuardDuty, 인증 심사 등 IDS, IPS는 필수로 인정 되나 아직 AWS의 기능으로 인증 심사 항목을 만족 시키지 못하는 것 같다. 3rd Party 솔루션을 통해서 구성을 할 수 있지만 GuardDuty 만으로도 충분히 보안을 적용 할 수 있다. GuardDuty는 CloudTrail, CloudTrail S3, EKS 감사로그, VPC 로그, DNS 쿼리 로그 등을 통해서 위협을 탐지 하는 방식으로 이벤트 건별 비용이 발생 한다.

 

어플리케이션 보안, 

어플리케이션에서 가장 쉽게 보안을 해결하는 방법은 웹방화벽을 사용 하는 것이다.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를 사용하지 않고 기존과 동일하게 레거시(Legacy) 영역에 서비스를 구성 하더라도 웹방화벽을 사용하는게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다.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중 AWS 에서는 AWS WAF와 shiled 를 적용 시켜 어플리케이션 보안을 해결 할 수 있다. 

AWS WAF는 Web Application Firewall 웹방화벽으로써 SQL 인젝션, IP 차단 등 Web 취약점 공격을 차단 해주는 서비스 다. 

AWS 상의 Cloud Front, ALB(Application Load Balancer), Amazon API Gateway에 설정 가능 하다.

 

WAF 차단 Rule은 각 서비스별로 서비스에 맞게 구성 해줘야 한다. 

그냥 그대로 사용 했다가는 보안사고가 발생이 당연히 될꺼라고 생각 한다. 그래서 Custom Rule을 적용 해야 하는데, Rule 갯수, 요청 수를 기준으로 비용이 발생 한다.

 

그리고 어플리케이션 가용성을 지키기 위한 DDoS 공격을 보호 하기 위해서 AWS shiled 서비스를 사용 해야 한다. 

이 서비스는 Standard와 Advanced 타입으로 구분이 되어 있는데, Standard는 AWS 사용 시 자동으로 활성화 되는 무료 서비스 인데 최소한 이정도는 적용을 하면 되지만 가용성이 정말 중요한 서비스라면 Advanced 를 써야 한다. 

 

Standard는 AWS cloudfront, Route53애서  L3, L4레벨의 DDoS 공격을 보호 해주고 Advanced는 AWS EC2, ELB, S3, Cloudfront, Rout53 를 보호 받을 수 있다. L3, L4, L7 까지 DDoS 공격을 보호 받는 서비스고 24시간 관제까지 포함 되어 있다.

 

일반적인 사항과 인터넷에서 많이 보았던 사항과 일부 경험을 심플하게 정리 하였는데, 이렇게 작성을 해놓고 보니 .. 결국 보안도 비용과 관련된 사항이 많이 있고 정책적인 관리적인 내부 R&R에 많이 힘든 부분이 있다.

 

아직까지도 퍼블릭 클라우드(Public Cloud) 사용함에많은 어려움이 있는 같다.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Photo by tworld

AWS What's New

  • MSK : 성능 개선 및 신기능을 포함하고 있는 Apache Kafka 2.7.0 버전 지원
  • Wavelength : 덴버 및 시애틀 지역 Wavelength zone 추가

매일 항상 감사하면서 지내고 있는, @tworld 입니다

Apple Mac mini PC, 8세대 i5, 8GB, SSD 512GB

#상대적 #절대적 어려운말이지만 이제는 한몸같은 말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Tworld 사전, #상절티사 였습니다.

tworld_follow_2.gif

728x90
반응형
728x90
반응형

Photo by tworld

AWS What's New

  • DDB : PartiQL (SQL 호환 쿼리 언어) 23개 리전에서 추가 지원, NoSQL Workbench 에서도 사용 가능
  • EBS : io2 유형의 볼륨도 다중 연결(Multi-attach) 지원
  • EKS : Load Balancer Controller for Kubernetes 버전 2.1이 정식 출시
  • Gamelift : Unity 2020, Unreal 4.25 버전 지원하도록 SDK 업데이트
  • MSK : 브로커 리부팅 API를 통해 개별 브로커 리부팅 가능.
  • Wavelength : 한국지역에 첫 Wavelength zone 제공

매일 항상 감사하면서 지내고 있는, @tworld 입니다

Apple Mac mini PC, 8세대 i5, 8GB, SSD 512GB

#상대적 #절대적 어려운말이지만 이제는 한몸같은 말
상대적이며 절대적인 Tworld 사전, #상절티사 였습니다.

tworld_follow_2.gif

728x90
반응형

+ Recent posts